▶ 자료표현
- 0B : 바이너리 넘버(2진수)
- 0 : 8진수
- 0X : 16진수
▶ 변수 : 변하는 수
- 특수문자는 $, _ 만을 사용
- 숫자 시작 X
- 예약어 사용 X
- 용도에 맞고 가독성이 좋게 만드는 것이 중요
▶ 상수 : 변하지 않는 값
- final 예약어를 통해 상수 지정 -> 재선언 불가능
▶ 리터럴(literal)
-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숫자, 문자, 논리값
- 정수 리터럴은 int, 실수 리터럴은 double로 저장
- 범위를 넘어갈 경우 정수의 경우 L, 실수의 경우 F 식별자를 써줘야 함
▶ 형 변환
- 자동 형 변환(promotion) : 작은 크기 -> 큰 크기로의 형 변환
- 강제 형 변환 : (casting) 필요
double dNum = 1.2;
float fNum = 0.9F;
int iNum1 = (int)dNum + (int)fNum;
int iNum2 = (int)(dNum + fNum);
System.out.println(iNum1); -> 1
Sysetm.out.println(iNum2); -> 2
- casting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값이 달라질 수 있으니 주의!
▶ 문자세트 : 각 문자를 얼마로 표현할 것인지 코드 값을 모아둔 것
- ASK II, euc-kr, utf-8, utf-16 ...
▶ 'A' 와 "A"의 차이
- 'A' : 2Byte 문자
- "A" : 문자열
- ※ 유니코드 사용 : '\u'